Kubernetes는 매 릴리즈마다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을 통해 발전하고 있습니다.

최근 v1.32 버전은 다양한 업데이트와 함께 Memory Manager 기능이 GA(General Availability) 단계로 진입된 것이 가장 주목받는 변화 중 하나인데요.

이번 뉴스레터에서는 Kubernetes v1.32의 주요 내용과 Memory Manager의 의미, 그리고 앞으로의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.

📊 Kubernetes v1.32 버전 업데이트의 주요 내용

(출처: CNCF 재단)

Kubernetes v1.32는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와 다양한 옵션 도입이 포함된 릴리즈인데요. 주요 업데이트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
  1. Memory Manager GA 단계 진입
    • 워크로드의 메모리 사용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성능 개선 및 안정성 제고
  2. CPU Manager 기능 강화
    • 워크로드가 사용할 CPU를 더욱 엄격히 할당하여 성능 향상을 이끌어내는 strict-cpu-reservation 옵션 도입 시작
  3. CSI(컨테이너 스토리지 인터페이스) 관련 기능 강화
    • 여러 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복사본 저장이 가능한 Volume Group Snapshot 기능 Beta 단계 진입
  4. Kubernetes API Server 성능 향상
    • 기존 메모리 사용이 컸던 List 요청을 Watch List 요청으로 대체하는 WatchListClient 옵션 도입 시작

🔍 이번 업데이트로 GA 상태에 진입한 Memory Manager 기능이란?

(출처: Kubernetes 공식 블로그)

Memory Manager는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에 메모리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
Memory Manager의 역할을 이해하려면, NUMA(Non-Uniform Memory Access)라는 디자인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요.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훑어보겠습니다.

(출처: https://live.boost.org/doc/libs/1_66_0/libs/fiber/doc/html/fiber/numa.html)

NUMA는 멀티프로세서 구조에 쓰이기 위해 등장했습니다. 멀티프로세서 구조에선 메모리의 위치에 따라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가 달라지는데요.

프로세서가 자신의 지역(Local)에 있는 메모리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성능을 향상 시킨 것이 바로 NUMA 설계입니다.

하지만 반대로 프로세서가 다른 지역에 있는 메모리에 접근할 땐 시간이 더 걸리게 되죠.

이런 특징을 고려해 Pod를 배포할 때 같은 지역에 있는 CPU와 메모리를 사용하도록 할당해서 성능 향상을 꾀하는 것이 바로, CPU Manager와 Memory Manager의 역할입니다.

그래서 Memory Manager을 사용하면…

  •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메모리 대역폭을 보장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지원이 가능하고,
  • 메모리 조각화를 줄이고, 메모리 접근 속도를 최적화하여 자원 효율성이 향상되며,
  • 워크로드가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
Memory Manager는 이전에 알파와 베타 단계에서 제공되었다가 사용자들의 피드백과 실질적인 검증을 거쳐 이번 v1.32에서 GA 상태로 전환되었는데요. GA로의 전환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

📊 Memory Manager의 GA 진입이 앞으로 미칠 영향은?

Memory Manager의 GA 진입은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기업과 개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  1. 성능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의 도입 확대
    • 금융이나 의료 등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산업에서 쿠버네티스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입니다.
  2. 클라우드 네이티브 워크로드의 안정성 증가
    • 메모리 관련 장애를 줄이고 클러스터 안정성을 개선함으로써 DevOps 팀의 운영 부담을 줄여줍니다.
  3.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생태계 성장
    • Memory Manager를 활용한 다양한 툴과 확장 기능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🙏 마치며

쿠버네티스 v1.32는 Memory Manager 기능의 GA 진입을 비롯해 많은 발전을 보여주었습니다.

Memory Manager는 실시간 처리와 성능 최적화가 중요한 워크로드 배포 측면에서 쿠버네티스의 가치를 더욱 높여줄 것으로 보이는데요.

앞으로 이 기능이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기대됩니다.

References